사마르칸트 국립 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'국가 연구' 과목을 가르치며 얻은 고찰
DOI:
https://doi.org/10.2024/1qww3452Keywords:
한국, 경제, 역사, 지리, 문화, 관용 표현, 비유, 언어 학습, 한국 문화, 언어의 기원Abstract
이 글은 대한민국의 경제, 역사, 지리 및 문화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 또한, 한국 문화와 관련된 관용 표현과 비유의 기원, 역사 및 기본적인 표현적 의미에 대한 간략한 소개도 포함됩니다. 필자는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단순히 언어만 익히는 것이 아니라, 그 기원과 역사적 발전, 그리고 나라의 경제적 상황에 대해서도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.
References
국립국어원. (2021). 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 연구.
홍지현, 허방신, 심만영. (2023). 한국어 교재 연구 동향 분석 -2000년~2022년 학술지 및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-. 한국어 교육, 34(1), 45-67.
박기영. (2005).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. 한국문화, 20, 123-145.
서종학, 이미향. (2010). 국외 한국어 교재의 변천사 연구 -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. 한국어 교육 연구, 25, 89-110.
신현숙. (2006). 한국어 문화 교재 분석. 언어와 문화, 2(1), 77-98.
민현식. (2005). 한국어 교육현장에 있어서의 교재 선택과 활용. 한국어 교육, 16, 55-78.
오대환. (2009). 문화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재 문화 항목 분석 비교 연구: 특수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. 한국어 문화 교육, 3(2), 99-120.
최호철. (2005).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 연구. 한국문화연구, 10, 211-233.
이지영. (2004). 중국 한국어학과 쓰기 교육을 위한 교재 분석 연구. 한국어 교육 연구, 19, 145-167.
국립국어원. (2021).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및 교재 인증 연구.
Downloads
Published
Conference Proceedings Volume
Section
License
Copyright (c) 2024 이영만 교수 (Author)
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.0 International License.